고려사항이 많은 퀘스트 착용 방법
퀘스트는 얼굴에 쓰는 기기이라 착용에 있어서 옷과 같이 생각하면 됩니다.
모든 사람에게 맞는 사이즈라고 선전해도 실제로 입으면 그런 것은 없다...
이 진실을 모두 경험으로 알고 있을 겁니다.
퀘스트의 경우도 모든 사람에게 맞는 기기라고 나오기는 하지만 까다로운 부분이 많습니다.
그리고 인구 중 특정 부류의 사람들에게는 사용하기 너무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사용경험을 조금이라도 향상 시키려면 노하우가 있어야 됩니다.
우선 IPD라는 것을 알아봅니다.
IPD란?
IPD 는 InterPupillary Distance를 나타냅니다.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의 동공 사이의 거리를 나타냅니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퀘스트를 포함한 VR기기들은 렌즈 정중앙에 시선이 가야 잘 보인다는 겁니다. 렌즈 중간 사이의 거리가 사용자의 IPD하면 촛점이 뚜렸하며 눈의 피로가 적습니다. 이 말은 렌즈 정중앙과 각 눈의 중앙이 일치선에 있어야 됩다는 겁니다. 렌즈에 따라 좀 오차 범위가 있는 데 이를 Sweet Spot라고도 하지요. 하지만 이 범위는 크지는 않습니다.
이런 설계상 VR를 할 때는 눈알을 돌리지 않고 로봇처럼 얼굴을 움직이지요. 시선이 렌즈 중앙을 벗어나면 흐려 보입니다.
퀘스트 1의 경우 IPD 슬라이더가 있어서 세세히 IPD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착용감이 증가됩니다.
반면 퀘스트 2의 경우 세세히 IPD를 조정할 수 없고 3 가지의 고정된 IPD만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방면에서는 더 불편합니다.
- 1번: 58mm
- 2번: 63mm
- 3번: 68mm
이 IPD를 안과에서 측정하면 알 수 있습니다.
미리 IPD를 모르면 일단 퀘스트를 최대한 눈 중앙이 렌즈 중앙을 바라보도록 위치를 잡으세요. 이때 좀 영상이 흐리다 싶으면 IPD를 한단계 올려보세요. 이를 반복해서 가장 좋은 IPD로 고정을 하세요.
위치잡기
IPD가 맞아도 VR 헤드셋이 사용 시 적절한 얼굴 위치에 있어야 시각적으로 편한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1. 가로와 세로
위에서 말한 대로 IPD를 최대한 본인의 IPD로 설정을 하고 각각의 눈이 정면으로 향하면 최대한 렌즈 정중안을 보도록 헤드셋을 가로와 세로로 움직여야 합니다.
2. 앞과 뒤
이는 렌즈와 사용자의 눈간위 간격을 말합니다. 눈에 따라 초점을 잘 맞는 거리가 있기에 어떤 사람은 렌즈가 눈에 가까이에 있는 것을 선호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몇 mm의 차이도 상당히 다른 결과를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퀘스트를 눈에서 살짝 띄어 놓고 영상이 흐려지는 지 더 선명해지는 지 보세요.
어떤 것을 선호하는 지 알면 이 차이를 보통 악세사리로 보정을 합니다.
본체에 포함된 안경가이드을 삽입해서 간격을 늘이던지...아니면 두꺼운 얼굴폼 (안면 인터페이스) 을 따로 구매해서 이용하면 됩니다.
반대의 경우 얇은 얼굴폼 (안면 인터페이스)을 사용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아나면 끈을 조여서 사용하는 수 밖에 없네요.
공홈의 QUEST 2 FIT 팩에도 크고 작은 얼굴폼 (안면 인터페이스) 들이 있습니다.
VR cover 같은 기타 회사에서도 두께 차이가 있는 얼굴폼 (안면 인터페이스)를 팔고 있습니다.
끈 매는법
다른 것을 해결했으면 실제로 기기를 얼굴에 착용해야 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머리 끈의 위치입니다. 여기에는 2 방법이 있습니다.
- 뒷머리 위 부분
- 뒷머리 아래 부분
보통 오큘러스 선전에는 머리 끈의 위치를 뒷머리 아래 부분에 놓고 사용하라고 합니다.
그렇지만 이는 인구의 한 집단에만 해당이 되는 방법입니다. 머리 형태에 따라 이 방식이 수직적 중력을 해소하기에는 미흡한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 사람들은 머리 끈의 위치를 뒷머리 위 부분에 걸치게 놓고 사용하라고 합니다. 실제로는 몇 cm차이가 나지는 않지만 착용감은 차이가 많이 납니다. 다만 주의할 것은 아래 부분보다는 기기가 벗겨질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뒤에 배터리 같은 무게추를 반드시 같이 사용하는 것을 추천 드려요.
돗수 있는 안경가이드 사용해서 안경 없이 VR하기
퀘스트 2의 경우 1보다 크기가 작아서 안경이 들어갈 공간이 적습니다.
그래서 본체에 포함된 안경가이드을 삽입하도 불편을 호소하는 분들이 증가해서 돗수 있는 안경가이드를 구매하시는 분이 많으십니다.
특별한 것은 아니고 퀘스트 렌즈 위에 렌즈를 덥어쓰는 것으로 퀘스트 렌즈 주변에 이걸 끼울 수 있게 플라스틱으로 튀어 나온 부분이 있어요.
보통 이에 끼울 플라스틱 링을 구매하거나 3D 프린팅 등으로 만들고 안경점에서 맞게 렌즈를 만들어 달라고 해서 이를 접착을 합니다.
현재는 기본적으로 2가지 모델이 있습니다.
- 일체형
- 자석형
일체형인 링이 하나이어서 이것을 끼우는 겁니다. 혼자 사용하면 별문제는 없는 이를 자주 빼고 끼우기는 불편합니다. 자석형은 링이 2개로 하나(무 렌즈)이고 이를 직접 퀘스트에 끼웁니다. 다른 링 (렌즈 있음)는 자석이 있어서 첫번째 링에 붙히면 됩니다. 이러면 쉽게 빼고 끼울 수 있습니다.
수원 바라봄 안경점에서 돗수렌즈가이드 구매 후기
댓글
댓글 쓰기